전체 글 (364) 썸네일형 리스트형 데스크탑, 태블릿, 모바일 사이즈 모바일 : ~767px태블릿 : 768~1023px데스크탑 : 1024px~ [JS] 배열 비우기(빈 배열로 만들기, 초기화) 방법 예전에 사수가 코드리뷰를 하시면서 이런 말씀을 하셨다.'빈 배열을 만드는 방법 중, 배열의 길이를 0으로 만드는 것과 빈 배열을 할당하는 게 같아 보이지만 차이가 있다.'처음에는 무슨 말인지 이해를 못해 찾아보았고, 찾아본걸 바탕으로 정리하려고 한다. 배열이 선언 & 할당되어 있을 때,배열을 초기화(빈 배열로 만들기)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크게 세 가지로 정리해보려고 한다. 우선, 아래와 같은 배열이 있다고 해보자.let name = ['ria', 'Jun'] 방법1. 배열에 새로운 빈 배열을 할당name = [];정확하게 말하면 이 방법은 배열을 비우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빈 배열이 저장된 메모리주소를 참조시키는 것. 1/ let name = ['ria', 'jun']처음에는 name.. [코딩테스트 ALL IN ONE]코딩테스트 🍯 TIP # 자료구조: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방식자료구조는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저장하여 메모리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고, 빠르고 안정적으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메모리구조를 잘 알고 있어야 자료구조의 중요성을 알게된다. example)num1 = 10num2 = 16num3 = 17num4 = 5num5 = 11num6 = 14num7 = 1num8 = 4num9 = 20num10 = 20지금은 10개지만, 데이터를 100개, 1000개를 저장해야하는 상황이 온다면 변수를 하나하나 지정해서 저장하는건 무리가 있다.이런 경우, 비슷한 성질의 데이터를 모아서 저장을 하면 좋겠다. 이렇게 변수를 하나하나 지정해서 데이터를 저장하기보다는, Array 자료구조를 사용하면 데이터를 더 효율적으.. 자바스크립트 동작 원리(Call Stack, Task Queue, Event Loop etc) 코드를 잘 짜고 싶으면 문법말고도 여러가지 배울것이 많다. ex: 웹브라우저 동작 원리 등. 그러면 코드 잘짜는 개발자가 될 수 있다. 자바스크립트를 작성하면 브라우저가 실행시킨다. HTML, CSS, JS를 해석해주는 것이 브라우저. - 특징 : 자바스크립트를 해석하는 순서가 특이함. 아래 코드를 실행시키고싶다. 1+1 하고 1초 쉬고 2+2 하고 일반 프로그래밍 언어는 이런식을 작동한다. //python ver print(1+1) time.sleep(1) print(2+2) 파이썬 같은 경우는 위에서부터 한줄한줄 실행된다. 2 → 1초 쉬고 → 4 자바스크립트에서도 똑같은 기능을 만들어보려고 setTimeout을 사용해서 코드를 작성하였다. //JavaScript ver console.log(1+1).. CSR vs SSR 1. 웹의 역사(SPA 시대까지) 1/ 1990년 중반까지는 모두 다 static sites(정적 사이트)였다. 서버에 이미 잘 만들어진 html 문서들이 있고, 사용자가 브라우저에서 www.hello.com과 같은 주소에 접속하면 서버에 이미 배포되어져있는 HTML 문서를 받아와서 보여주는 형식 한가지 문제점은, 페이지 내에서 다른 링크를 클릭하면 (www.hello.com/about) 다시 서버에서 해당 페이지의 HTML을 받아와서 페이지 전체가 업데이트 되어야 한다. 2/ 1996 1996년 문서 내에서 또 다른 문서를 담을 수 있는 iframe 태그가 도입되었고, 이제는 페이지내에서 부분적으로 문서를 받아와서 업데이트 할 수가 있게 된다. (지금도 간혹 쓰이고 있는 태그!) 3/ 1998년 우리가.. [얄팍한 코딩사전] HTTPS는 무엇인가? 그리고 왜 쓸까?(ft. 대칭키 vs 비대칭키) 2편 앞서 1편에서 HTTP대신 HTTPS를 사용하는 이유를 크게 2가지로 설명하였다. 1. 내가 사이트에 보내는 정보(ex: 내 ID, password)를 제3자가 알아보지 못하게 하기 위해서(암호화) 2. 내가 접속한 사이트가 믿을만한 곳인지 이 두 보안 기능이 어떤 원리로 구현되는지 알기 위해서는 대칭키와 비대칭키의 개념을 알아야 한다. 1. 대칭키 방식 전쟁에서 아군에게 편지로 메시지를 보낼 때, 중간에 적군이 편지를 탈취해도 이를 알아볼 수 없도록 하려면 메시지의 내용을 '암호화' 해야한다. 그 암호화된 메시지는 아군만 읽을 수 있어야 한다. 그래서 옛날부터 이를 위한 방식들이 고민되어 왔다. 그동안 널리 사용되어 온 건 이 '대칭키 방식'. ex: 양쪽 모두 A=27, B=9, C=51.. 이런 표.. [얄팍한 코딩사전] HTTPS는 무엇인가? 그리고 왜 쓸까?(ft. 대칭키 vs 비대칭키) 1편 보통 주소창에 주소를 적을 때, www앞에 https:// 이렇게 붙인다. 예전에는 http:// (HTTP)가 많았지만, 요즘 공신력 있는 사이트 대부분은 거의 https:// (HTTPS)를 많이 사용한다. *TMI: 청와대 홈페이지는 아직도 http://이다... 그래서 주소창을 보면 '주의요함'이 적혀있다! HTTPS의 S는 Secure, 즉 기존의 HTTP사이트보다 더 안전하다는 얘기. (HTTP over SSL(TLS), HTTP over Secure라고 부르기도 한다.) HTTPS요청을 SSL 혹은 TLS라는 알고리즘을 이용해 HTTP통신을 하는 과정에서 내용을 암호화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 이 내용은 어려우니 다음에 차차 설명하도록 하겠다. 그렇다면 무엇으로부터 안전하다는 걸까? .. 명령형 프로그래밍 vs 선언형 프로그래밍 Imperative programming is HOW you do something, and declarative programming is more like WHAT you do. 즉, 명령형(절차적) 프로그래밍 : 일을 '어떻게' 할 것인가에 관한 것. 선언적 프로그래밍 : '무엇을' 할 것인가에 관한 것. 아래는 코드가 아닌, real life 예시. 1/ Red Lobster 레스토랑 - 당신은 JavaScript가 주는 피로함과 씨름하느라 많은 시간을 써, 남편과 근사한 데이트를 하기로 결정했습니다. Red Lobster에 도착하여 프론트데스크에 가서 다음과 같이 말하였습니다. [ 명령형 접근형(HOW) ] I see that table located under the Gone Fi.. 이전 1 2 3 4 ··· 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