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shing, 그리고 Salt값
먼저, 유저가 클라이언트를 통해 이메일 관련 데이터를 요청할 때, 이메일주소와 password를 가지고 요청한다고 생각해보자. CASE 1 : DB에 password가 그대로 저장되어있는 경우 1> 서버가 클라이언트러부터 유저의 이메일주소, password를 받는다. 2> 서버는 DB에 email, password를 요청하고 받은 후, 클라이언트로부터 받은 정보와 비교한다. 3> 일치하면 DB에 다시 해당 이메일주소의 관련 정보를 요청해서 클라이언트에 반환해준다. **여기서!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어도 되지만, password는 조심해야한다. 해커가 DB에 접근해서 유저의 비밀번호를 쉽게 알아버리면, 비밀번호는 하나로 여러 사이트에서 사용하기 때문에 서비스 하나에 패스워드가 뚫리게 되면 은행, 페이스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