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ataBase/MySQL

[MySQL] MySQL의 역사

1. 인류의 정보관리 욕구 - '파일'

인류는 오랫동안 컴퓨터의 정보를 관리하고 싶어했다.

'파일'이라는 위대한 정보관리도구는 사용하기 쉽고, 어디에도 있으며, 전송하기도 편리하기 때문에 지금도 사용하고 있고, 앞으로도 계속 사용할 것이다. 

 

2. 정보의 폭발적 증가 & '파일'에 대한 불만족 

처음에는 '파일'만으로도 만족했지만, 사람의 욕심은 끝이 없다.

정보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다양해지면서 파일만으로는 정보를 효과적으로 입력, 저장, 출력하는것이 어려워졌다.

(원하는 데이터만 가져올 수 없고, 파일을 통째로 가져와서 서버에서 필터링을 해야지만 원하는 데이터를 가져올 수 있다. 항상 모든 데이터를 가져온 뒤, 서버에서 필터링. 서버에 과부하가 걸릴 수 있다.)

데이터를 잘 정리정돈해서 필요할 때 쉽게 꺼내어 쓰고싶다는 욕심이 생겨나기 시작한다.

 

3. 데이터베이스 탄생

1960년부터, 파일의 한계를 극복을 위한 본격적 시도. 

몇몇 거대 기업과 천재적인 엔지니어들은 누구나 쉽게 데이터를 정리정돈 할 수 있는 전문적인 소프트웨어 고안하기 시작.

이런 맥락에서 만들어진 소프트웨어를 'Database'라고 부르기 시작.

 

4.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제품 출현

1970년, IBM에서 Relational database(관계형 데이터베이스)라는 새로운 데이터베이스 고안. 그의 이론에 기반하여 여러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제품들 출현. 

아직까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분야에서 절대강자.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면 데이터를 표의 형태로 정리정돈 할 수 있고, 정렬, 검색과 같은 작업을 빠르고 편리하고 안전하게 할 수 있다.

Relational Database 종류 : MySQL, Oracle, SQL Server, PostgreSQL, DB2 etc

이 중 하나를 배우면,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다른 프로그램 사용법도 알게 된다.

 

5. 웹성장과 함께 MySQL의 폭발적 성장

1994년 스웨덴에서 개발되기 시작한 MySQL.

무료 & 오픈소스이면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주요 기능을 대부분 갖추고 있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웹이 폭발적으로 성장하면서 웹개발자들은 웹페이지를 통해서 표현할 정보를 저장할 데이터베이스를 찾게 된다.

--> 무료이면서 오픈소스였던 MySQL은 웹개발자들에게 매우 좋은 대안.

자연스럽게 수많은 엔지니어들이 MySQL을 사용하게 되었고, MySQL은 웹과 함께 폭발적은 동반성장을 하게된다.

 

그 결과, MySQL은 데이터베이스 시장에서 세 손가락 안에 드는 지배자가 되었다.

 

 

출처 : 생활코딩 DATABASE2-MySQ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