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계형 데이터베이스는 엑셀, 스프레드시트와 구성이 비슷하다.
1. 표 (table)
- 데이터를 기록하는 최종 장소 : 표(table).
글 저장하는 표, 댓글 저장하는 표, 회원정보 저장하는 표 등 표들이 늘어나면 많아진 표들을 잘 정리정돈 할 필요가 생긴다.
(파일이 많아지면 디렉토리가 필요하게 되는것처럼)
2. 데이터베이스 (= 스키마)
연관된 표(table)들을 그룹핑해서 연관되어있지 않은 표들과 분리하는데 사용하는 파일의 폴더같은 것.
표들을 서로 그룹핑하는데 사용하는 일종의 '폴더'.
데이터베이스라는 표현이 헷갈릴수 있으므로 MySQL에서는 스키마(Schema)라는 표현을 같이 쓴다.
이렇게 스키마들이 많아지면 어딘가에 저장되어야 한다.
3. 데이터베이스 서버
MySQL을 설치한 것은 데이터베이스 서버 프로그램을 설치한 것.
프로그램이 가지고 있는 기능성을 이용해 데이터와 관련된 작업을 하는 것.
*모든 내용은 생활코딩 강의를 기반하여 작성하였습니다.
'DataBase > MySQL' 카테고리의 다른 글
[MySQL] 테이블(표)의 생성 및 확인 : CREATE TABLE (0) | 2021.10.18 |
---|---|
[MySQL] 표(테이블)의 구조 (0) | 2021.10.18 |
[MySQL] 데이터베이스(스키마) 생성 및 사용 : CREATE DATABASE (0) | 2021.10.18 |
[MySQL] MySQL의 역사 (0) | 2021.10.15 |
[MySQL] Homebrew를 통한 macOS MySQL 설치, 그리고 MySQL 실행 및 접속 (0) | 2021.1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