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omputer Science

(11)
라이브러리(Library) vs 프레임워크(Framework) 라이브러리와 프레임워크의 차이는 뭘까? 뭔가 느낌으로는 알겠는데, 막상 설명을 하라고 하면 정확하게 잘 못하겠다. 그 말은 즉, 내 머릿속에 아직 명확하게 정리가 되어있지 않다는 뜻이겠지..! 이 참에 제대로 공부해보자! 라이브러리란? 자주 쓰는 코드를 함수로 가공해서 정리해 놓은 것을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해놓은 일종의 코드 모음집. 이미 다른 개발자들이 잘 짜놓은 코드를 공유받아 쓸 수 있는 도서관(library) 같은 역할을 한다. 프레임워크란? 페이지 설계의 토대가 되는 부분을 기술해 놓은 기반 코드(클래스) 및 라이브러리를 제공해 주는 구조. # 공통점 - 둘다 다른 사람이 만들어둔 코드. 우리의 프로젝트를 위해서 이 코드를 가져다가 쓴다. - pre-packaged 3rd party code u..
운영체제 개요 및 응용프로그램 운영체제 컴퓨터나 스마트폰의 기기 그 자체(하드웨어)는 스스로 할 수 있는 일이 없다. 하드웨어에게 일을 시켜야만 의미가 있다. 하드웨어에게 일을 시키는 주체가 바로 '운영체제'이다. 의미 - 컴퓨터 하드웨어 바로 위에 설치되어 사용자 및 다른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를 연결하는 소프트웨어 계층. - 우리가 일반적으로 컴퓨터를 사용하면서 실행한 모든 프로그램들은 운영체제에서 관리하고 제어한다. ex: Windows, Mac OS, IOS, Linux etc. 컴퓨터 시스템의 자원(소프트웨어, 하드웨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중요한 역할. 프로세서CPU, 입출력장치, 기억장치 등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관리. 주어진 자원으로 최대한의 성능을 내도록 하는 것. 사용자간의 형평성 있는 자원 분배. 파일, 메시지..
문자열 세트(또는 문자셋) 및 유니코드 & 인코딩, UTF-8란? 1. 문자열 세트(또는 문자셋) 컴퓨터는 정보들을 기본적으로 0과 1, 이 두 개로만 저장한다. 그렇다고 사람보고 0과 1만 가지고 정보들을 읽고 쓰라고 하면 매우 힘들다. 그래서 우리가 사용하는 각각의 문자들에 대응하는 숫자를 매긴다. ex: A=65, B=66. 숫자는 이진법으로 0과 1로 나타낸다. --> A=1000001 **문자열 셋(charset) : 사용되는 모든 글자에다가 각각 숫자를 매긴 것. 즉, 사람이 문자를 입력하면 컴퓨터는 그것들을 (문자 인코딩을 통해)0, 1로 저장하고, 사람들에게 보여줄때는 해당 글자를 찾아서 텍스트를 보여준다. ** 문자인코딩(Charater Encoding) : 사람의 문자를 컴퓨터가 알아볼 수 있게 바이너리(0과 1) 신호로 바꿔주는 것. 사람문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