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364)
HTTPS 통신과정 HTTPS 통신과정이 한 자료만 읽고 이해하기에는 나한테는 많이 어려웠다. 여러 블로그 글들, '얄팍한 코딩사전', '생활코딩' 영상을 보고 드디어 HTTPS 통신과정을 이해하게 되었고, 이해한 걸 스스로 정리하면서 다른 사람들에게도 공유하고 싶어 이렇게 정리하게 되었다. 사실, 깊게 들어가면 더 복잡한 내용들이 많지만 나는 HTTPS 통신 과정이 간단하게 '어떻게' 되는지에 초점을 맞추었다. 자료마다 HTTPS 통신과정단계를 나누는 기준이 달라, 내 방식대로 크게 4가지 단계로 나누었다. 1. Handshake (악수) 2. Session Key 생성 3. 데이터 전송 4. 통신 완료 들어가기에 앞서 미리 알아야 할 점은 클라이언트, 즉 브라우저는 - CA 리스트 - 각 CA 공개키 등이 내장되어있다...
[얄팍한 코딩사전] HTTP는 뭘까? 내 컴퓨터에서 네이버 웹사이트에 접속하게되면, 내 컴퓨터는 네이버 서버에 대략 이렇게 생긴 메시지를 보낸다. 그냥 이렇게만 보내면 컴퓨터조차 읽어내지 못한다. 왜냐하면, 이 메시지가 '어떤 형식'으로 작성됐는지를 모르기 때문. 예를 들면, O 이라는 것이 있다. 이게 숫자 0인지, 알파벳 O인지, 한글 이응인지를 알려면 저 문자가 숫자인지, 알파벳인지, 한글인지 등 어떠한 형식인지 알려줘야한다. 위와 같은 사진이 있다. 이게 어떠한 상황인지를 알려면 '바둑'인지, '오목'인지를 알아야 한다. HTTP는 인터넷상의 커뮤니케이션에 사용되는 형식들 중 하나이다. 사람은 위와 같은 사진을 보면, 바로 우편형식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어느 부분이 주소인지, 우편번호인지, 연락처인지 바로 알아낼 수 있지만 내 컴..
[26주차] 2021. 11. 03. 수. 🌅AM * 알고리즘은 여전히 너무나도 어려웠다. 그리고, 사실 정규시간은 1시간인데 30분만 하였다. --> 자꾸 알고리즘이 어렵다고 하는데, 정작 나는 알고리즘에 많은 시간을 투자하고 있지 않다. 이건 나의 잘못이다. --> 알고리즘에 좀 더 시간을 많이 할애하자. 좀 더 머리를 많이 쓰고, 치열하게 고민하자. * 점심시간 전까지 집중이 잘 되었다. 그래서 그런지 점심이 더 맛있게 느껴졌다. --> 그렇다. 몰입은 오히려 삶의 만족감을 올린다고 한다. 몰입하는 시간을 점차 늘리자. 아 즐겁다!!! 🌆PM : 오늘 내용도 잘 모르겠고, 페어분과의 이야기에서 나 혼자만 스터디를 하지않는것 같고, 다른 사람들은 벌써 프로젝트 아이디어도 생각해놓았고 알고리즘도 스터디를 짜서 하고있고, 새벽 3-4시까지 공부를..
[26주차] 2021. 11. 02. 화. 🌅AM : 늦게 일어났다. 추운 아침에 일찍 일어나는건 꽤 힘든일이다. 그래도 이겨내자. 다 똑같이 힘들다. 그걸 이겨내고 일찍 일어나는게 중요하다. 🌆PM : 집에서 계속 공부할까, 고민하다가 옆집이 시끄러울까봐 걱정되어 4시부터 밤까지 스터디카페에서 공부했다. 확실히 공부하는 분위기에서 공부를 하니 집중이 잘된다. 이렇게 취업하기 전까지 스터디카페나 도서관에서 공부를 해야겠다. 🧘🏻 내 마음속 : 늦게 일어나서 기분이 안좋았고, 옆집 소음으로 신경이 곤두서서그런지 한 2시정도?까지 그렇게 기분이 좋지는 않았다. 하지만 스터디카페에서 공부를 하고, 또 집중해서 공부가 잘되고 하고자 했던 공부를 하니 뿌듯하고 뭔가 탄력이 붙는 느낌이다. 이 분위기 그대로 열심히 해서 취뽀해야지. 📚오늘 배운 것: Doc..
1장. 프로그래밍 1.1 프로그래밍이란? 사람(자연어 사용) ————-> 컴퓨터(기계어 사용: 0과 1) : 컴퓨터에게 정확하고 상세하게 ‘요구사항’을 설명(코드를 통해)하고, 실행을 요구하는 일종의 사람과 컴퓨터간의 커뮤니케이션 실행을 요구하기 위해서는, 먼저 ‘무엇’을 실행시키고 싶은지 알아야 한다. 1. 해결해야 할 문제(요구사항)을 명확히 이해 - 대부분의 요구사항 : 복잡하고 불명확하다. 1> 문제를 명확하게 이해 2> 복잡함을 단순하게 분해 & 자료 정리 및 구분 3> 순서에 맞게 행위 배열 2. 적절한 문제 해결 방안 정의 - 이 때 필요한 것 : 컴퓨팅 사고. 1.2 프로그래밍 언어 문제 해결 능력을 바탕으로 정의된 문제해결방안 : '컴퓨터'에게 전달되어야 한다. 명령을 수행할 주체 : ‘컴퓨터’ 즉, 사람..
[26주차] 2021. 11. 01. 월. 🌅AM : 늦게 일어났다. 역시 늦게 일어나서 좋을 건 하나도 없다. 일찍 일어나자. 🌆PM : 밖을 한번도 나가지않아 약 1시간 가량 운동을 하고왔다. 그리고 AWS에 대해 심층적으로 공부하려고 노력하였고, 이해가 가지 않는 부분이 있으면 어떻게든 이해를 하려고 노력하였다. 🌃6시 이후 : 옆집이 또 시끄러웠다. 순간 너무나도 스트레스를 받았지만, 여기서 주저앉지 말고 이겨내보자 싶어 설거지를 마무리하고 바로 스터디카페로 갔다. 가서도 조금씩 집중력이 흐트러지는순간이 있었지만 그래도 집에 있을때보다는 집중해서 잘 한것 같다. 🧘🏻 내 마음속 : 옆집소음으로 심적으로 매우 힘들다. 아직까지 집에 들어오면 심장이 뛰고 무슨 소리라도 들릴까봐 겁이난다. 마인드컨트롤 해야지, 해야지 하면서도 잘 안된다. 현실..
문자열 세트(또는 문자셋) 및 유니코드 & 인코딩, UTF-8란? 1. 문자열 세트(또는 문자셋) 컴퓨터는 정보들을 기본적으로 0과 1, 이 두 개로만 저장한다. 그렇다고 사람보고 0과 1만 가지고 정보들을 읽고 쓰라고 하면 매우 힘들다. 그래서 우리가 사용하는 각각의 문자들에 대응하는 숫자를 매긴다. ex: A=65, B=66. 숫자는 이진법으로 0과 1로 나타낸다. --> A=1000001 **문자열 셋(charset) : 사용되는 모든 글자에다가 각각 숫자를 매긴 것. 즉, 사람이 문자를 입력하면 컴퓨터는 그것들을 (문자 인코딩을 통해)0, 1로 저장하고, 사람들에게 보여줄때는 해당 글자를 찾아서 텍스트를 보여준다. ** 문자인코딩(Charater Encoding) : 사람의 문자를 컴퓨터가 알아볼 수 있게 바이너리(0과 1) 신호로 바꿔주는 것. 사람문자 ---..
[25주차] 2021. 10. 26. Tue. 🌅AM : 어제 저녁부터 의욕이 없었는데 오늘 오전까지 이어졌다. 거기다가 친구의 갑작스러운 소식에 조금 혼란스러워 공부에 제대로 집중을 못한 것 같다. 🌆PM : 여전히 의욕이 없었지만, 그래도 집중해서 공부를 하려고 노력하였다. 컴퓨터 공학에 대해 어려운 부분이 있으면 구글링과 유튜브를 통해 조금씩 보충하였다. 🌃6시 이후 : 마음을 추스리고 다시 의욕충만의 상태가 되었다! 🧘🏻 내 마음속 : 열심히 하지않고, 집중을 하지않을때마다 나 스스로 자신감이 떨어지는 느낌이 든다. 내가 초라해보이고 이래서 내가 고등학교 공부를 못했었구나, 입시에 실패했구나, 그런 하찮은 생각이 든다. 아직 고등학교, 대학교때의 자신감없고 열등감에 쩔어있던 나로부터 벗어나지 못했나보다. 고등학교때 공부를 잘 못했던 트라우마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