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364) 썸네일형 리스트형 [23주차] 2021. 10. 14. Thur. 📚오늘의 공부 🌅am - Toy Problem #29 --> 많이 어려웠다. 이진트리, 완전이진트리, 이진 힙. 주말에 보충해야겠다. - MVC 개념익히기 --> Model / View / Controller 디자인 패턴. 🌄pm - Cmarket Database sprint 풀기 -> 반 정도 풀었다. 그 중에서도 반은 틀린 것 같다. 그래도 반이나 맞혔으니! 아직 query가 많이 약하다. 그래서 sprint푸는걸 중단하고 어제 풀었던 sprint를 복습했다. 조금은 JOIN에 대해 알게 된 것 같아 뿌듯하다. 🌃 6pm - - 오늘 공부한 것 블로그 정리 공부를 집중해서 한 것 같은데 생각보다 진도가 많아 안나갔다. 그리고 6시 이후의 시간을 활용을 잘 못하고 있다. 시간활용, 집중력, 몰입 잘해보.. [23주차] 2021. 10 .13. WED. [ 오늘 공부에서 부족한 부분 ] MySQL : 스키마 / 테이블 연결 / Join / MySQL에 대한 전반적 개념 부족 --> 주말에 보충하자 🥰 칭찬할 부분 - 페어 시간에 에러가 나도 끝까지 찾으려고 노력했고, 결국 해결하였다. - 오후 6시 이후, 힘들어서 조금 게으름을 피우다가도 다시 책상 정리하고 자기 전까지 공부를 집중적으로 했다. - 코딩 공부에 재미를 느끼고 있다. 😏 반성할 부분 - 페어 시간에 수업을 제외한 이야기를 조금 많이 했다는 느낌. 조금만 줄이자. - 오후 6시 이후, 게으름을 피웠다. 조금만 더 빨리 정신을 차리고 공부하는 절대 시간을 늘리자. [MySQL] Homebrew를 통한 macOS MySQL 설치, 그리고 MySQL 실행 및 접속 1. MySQL 설치 지금부터 로컬 컴퓨터에 MySQL설치하는 방법을 설명해보겠다. Homebrew를 이용한 설치 brew install mysql //mysql패키지 설치 brew info mysql // mysql패키지 정보 및 설치되었는지 여부, 의존성 등 표시. 여기서 잠깐 brew info에 대해 설명하자면 brew info : package 정보. 판본 정보 및 설치되었는지 여부, 의존성 등을 표시해준다. brew search 보다 유용함. brew search : 단순히 해당 꾸러미가 Homebrew 에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만 확인 출처 : https://www.nemonein.xyz/2019/02/1655/ 2. MySQL 서비스 시작 (MySQL 실행) MySQL을 설치했다면, MySQL.. [22주차] 2021. 10 .07. Thur. [What I think Today] - 뭔가 컨디션이 매우 좋지 않고 괜히 짜증만 났다. - 역시, 아침에 늦게 일어나는건 내 기분에도 영향을 많이 미치고, 내 루틴에도 영향을 미치고 매우 좋지 않은 것 같다. 이제는 항상 6시에 일어나고 11시에 자는 루틴을 꼭 유지하자. 그리고 아침에 조금이라도 운동을 하자. 루틴이 흐트러지니 하루를 다 망쳐버리는 느낌이다. - 빨리빨리 진도를 나가려고 하지 말고, 하나를 알더라도 제대로 알고가자. 진도가 무슨 의미가 있겠나. 하나를 알더라도 확실히 아는게 중요하지. - 조금 더 집중해서 공부하자. 몰입을 하자. 며칠을 쉬었더니 아직 집중력이 회복이 되지 않았다. 쉴때 쉬더라도 하루라도 놓지 말자. 지금부터 최소 5년은 몰입을 해서 내 커리어를 집중적으로 쌓아보자... [22주차]2021. 10. 06. 수. 알고리즘 문제를 풀었다. 순열, 조합문제는 꽤나 어려웠다. 문제가 어렵다보니 집중력이 급속히 떨어졌다. 반성 - 오후에 집중력이 떨어졌다. 아무래도 어려운 문제이다 보니 집중력이 떨어지는 듯 하다. 칭찬 - 오전에 꽤 집중해서 잘 했다. 남들과 똑같이 하면 그 정도밖에 안된다. 내가 선택한 길이니 최고로 열심히, 최고로 잘하자. SECTION 2 회고블로그(2021. 08. 23. - 2021. 09. 29.) 두 번째 Section 2. 처음 Section2 를 공부할 때에는 여기저기 구멍이 너무 많았다. 모든 걸 처음 공부하다보니 이해 속도도 너무 느리고, 추가적으로 유튜브 영상이나 다른 자료를 보며 공부를 하기에는 너무나도 진도가 밀려있었다. 그래서 솔직히 말하면, 마지막 부분(Express, Redux)은 아예 이해도 못하고 HA를 치렀다. 제때 과제를 내지 못한건 기본이고, 공부 내용을 소화를 하기도 힘들었고 모르는 것 투성이다 보니 할 의욕도 없었고 아침에 일어나는 것도 너무 싫고 이게 내 길이 맞나.. 그런 생각도 많이 하고.. 악순환이었다. 그렇게 슬럼프 아닌 슬럼프가 왔었다. 사실 처음 HA를 칠 때에는 server부분은 아예 건드리지도 못했고, client부분은 반타작정도 했었다. 그래도 정말.. Redux (생활코딩 수업 참조) Redux : A predictable state container for JavaScript apps. 가장 중요한 리덕스의 특징 : Single Soure of Truth. 하나의 상태(객체)를 갖는다. state = {}. 하나의 객체 안에 애플리케이션에서 필요한 모든 데이터를 우겨 넣는다. —> 애플리케이션의 복잡성을 한껏 낮춘다. 한 곳에 데이터를 중앙집중적으로 관리하면 여러 곳에 흩어져있는것보다 데이터를 관리하기 쉽다. 1. 하나의 state를 유지하는걸 통해서 애플리케이션의 복잡성을 낮춘다. 2. 이 state는 너무나도 중요하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철저히 차단시켜 데이터를 수정하는 것을 차단시킨다. 데이터를 읽고 쓰는 방법 : ‘인가된 담당자’(함수)를 통해서 할 수 있다. 데이터를 쓰고싶으.. Statesairline-Server //app.js const express = require('express'); //express 모듈 불러오기 const cors = require('cors'); //cors미들웨어 불러오기 const app = express(); //express모듈을 이용하여 서버를 만든다. express는 함수. return된 값은 application 객체 // 모든 서버는 요청을 받을수 있는 포트 번호를 필요로 합니다. // HTTP server의 표준 포트는 보통 80 번 이지만, 보통 다른 서버에서 사용중이기 때문에 접근할 수 없습니다. // 따라서 우리는 보통 테스트 서버 포트로 3000, 8080, 1337 등을 활용합니다. // PORT는 아파트의 호수와도 같습니다. 서버로 요청을 받기 위해서는 다.. 이전 1 ··· 39 40 41 42 43 44 45 46 다음